본문으로 바로가기

글로벌메뉴



언론기사

창작음악을 향한 두 남자의 38년 의기투합
동아일보 / 2011-10-13 / HIT : 1298

[지음지교를 꿈꾸며]박상연 예술감독-김성기 교수

창작음악을 향한 두 남자의 38년 의기투합

8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에서 만난 박상연 화음쳄버오케스트라 예술감독(왼쪽)과 김성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두 사람은 “오늘은 세 시간이 넘도록 창작음악 얘기만 할 수 있어서 신난다”고 말했다. 김경제 기자 kjk5873@donga.com

photolink
“밥은 먹었냐?” “응, 넌?” “먹긴 했는데 배고프다.”

동갑내기 친구 사이지만 일상 대화는 간결했다. 남자들은 원래 이렇단다. 하지만 음악 이야기가 시작되면 끝이 없다. 다른 소재가 끼어들 틈도 없다. 박상연 화음쳄버오케스트라 대표 겸 예술감독(57)이 주로 얘기하고 김성기 한국예술종합학교 작곡과 교수(57)는 듣는 편이다.

“어유, 지겹지 뭐. 매번 똑같은 얘기를 해서 이제 외울 지경이야.”(김 교수)

“허허허. 지금처럼만 계속 들어주라.”(박 감독)

박 감독이 이끄는 화음쳄버오케스트라는 2002년부터 ‘화음(畵音)프로젝트’를 펼쳐오고 있다. 갤러리나 미술관에 전시되는 미술작품 등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실내악곡을 연주하는 프로그램이다. 지난달 29일 프로젝트를 시작한 지 9년 만에 작품번호 100번 ‘뜻밖의 기쁨’을 선보였다. 그동안 한국 작곡가 45명을 포함해 미술작가, 연주자 등 총 200여 명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해 거둔 결실이다. 

박 감독은 “성기가 없었더라면 이 프로젝트는 시작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했고 김 교수는 “상연이 덕분에 작곡 활동의 동력을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작곡가인 김 교수는 이 프로젝트의 구상 단계부터 참여했다. 100곡 가운데 작품번호 3번 ‘심상(心象)의 경(景)’부터 99번 ‘그림이야기’까지 13곡을 작곡했다. 김 교수가 보는 박 감독은 힘들지만 분명한 예술철학을 가지고 실행에 옮기는 활동가다. 박 감독이 보는 김 교수는 국악기를 접목시키는 등 한국적 색채를 지닌, 버팀목 같은 작곡가다.
두 사람은 서울대 음대 73학번 동기. 박 감독은 비올라를, 김 교수는 작곡을 전공했다. 당시 박 감독은 같은 기악과 학생들보다는 ‘잘 노는’ 성악과나 ‘똑똑한’ 작곡과 친구들과 더 잘 어울렸다. 김 교수의 기억 속 박 감독은 ‘여학생들에게 꽤나 인기 많았던, 훤칠한 친구’다. 박 감독이 학창시절 워낙 ‘마당발’이라 김 교수에게 피아노 레슨 아르바이트를 소개해준 적도 있다. 

대학시절 김 교수는 작곡활동에 큰 회의를 느꼈다. “‘나는 작곡하지 말자’고 단단히 결심했었죠. 현대음악 작법이 틀에 박혀 있었고 그 음악을 펼칠 장도 마땅치 않았을 때였어요. 작곡하는 나도 괴롭고 연주자도 즐겁지 않고 비용만 쓰고…. 관객과 전혀 소통할 수 없는 음악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는 자각이었습니다.” 

박 감독은 그런 김 교수에게 창작음악의 중요성에 대해 끊임없이 얘기했고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졸업 후 김 교수는 프랑스 파리로, 박 감독은 독일 만하임으로 유학을 갔다가 1980년대 말 각각 귀국했다. 박 감독은 KBS교향악단 비올리스트로, 김 교수는 대학 강사로 숨 가쁘게 지냈다. 

두 사람이 다시 자주 만나게 된 것은 2000년대 초부터. 1996년 화음쳄버오케스트라를 결성한 박 감독은 시대와 호흡하는 음악, 현장이 있는 음악을 관객과 나누고 싶었다. 그는 김 교수를 떠올리고 연락했다. 창작음악에 대한 갈망에 둘은 의기투합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의견을 나눴다. 

김 교수는 동료 작곡가들을 일일이 만나 화음프로젝트의 취지를 직접 설명했다. 작곡가들도 흔치 않은 프로젝트에 반색했다. 신작이 작곡가 동인 모임에서 한 번 연주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관객과 소통하면서 재연도 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됐기 때문이다. 박 감독은 “음악 애호가라 해도 현대음악이라고 하면 외면하는 이들이 많다. 현대음악에 대한 환상과 부담을 버려야 한다. 고전음악도 오랜 시간 지나면서 재생산, 재해석되면서 권위가 생겨났다”고 말했다. 

급하게 위촉받은 곡을 쓰는 일은 김 교수의 몫이다. 그는 “나는 화음프로젝트의 ‘땜빵’ 전문”이라면서 “그래도 그 덕분에 레퍼토리가 차곡차곡 모여 뿌듯한 측면도 있다”고 빙긋이 웃었다.

두 사람은 다음 달 제1회 화음프로젝트 페스티벌을 준비하고 있다. 9년간 화음프로젝트에서 선보인 작품 가운데 엄선한 곡으로 마련한 무대가 다섯 차례 펼쳐진다. ‘세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창문 가운데 하나를 잘 만들고 싶다’는 것이 이들의 꿈이다. 

조이영 기자 lycho@donga.com